삶의 통합성

나의 가치는 나의 삶, 행동, 말에서 나온다. 진짜 나를 찾아 진실하게 살아야 한다. 자신을 속이는 일부터 중단해야 한다. 내면의 나와 외연의 나를 통일시키려 노력해야. 말과 행동과 생각이 일치해야 삶의 통합성이 유지된다. 내 전체 존재가 하나가 되어야 늘 당당할 수 있다.

데미안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다시 읽다.

“다시” 읽었다고 말하는 게 정확한 지는 모르겠다. 책을 읽다보니, “밝은 세계와 어두운 세계”에 대한 어렴풋한 기억 외에는 모든 게 새롭다. 아마도 읽지 않고, 읽었다고 착각했을 수도 있고, 읽기는 했으나, 번역투의 현란하면서도 지루한 설명에 꾸역 꾸역 페이지만 넘겼을 수도 있다.

“에밀 씽클레어의 어릴 적 이야기”라는 부제가 있었다는 것도 새롭고, 데미안이란 이 소설이 영지주의(靈知主義, Gnosticism)의 그림자가 뚜렷하다는 것도, 아브락사스(또는 아브라삭스)를 찾아보면서 처음 알게 되었다. 데미안이란 이름 자체도 데미우르고스라는 물질세계를 창조했다고 여겨지는 신의 이름에세 따왔다는 것도 처음 알게 되었다.

책의 서언으로 다시 돌아와서 발견한 한 문장이 이 소설의 내용을 아우른다.

모든 인간의 삶은 자기 자신에게 도달하기 위한 여정이고, 그 길을 찾아보려는 시도이며, 오솔길을 찾아가는 암시이다.

Each man’s life represents a road toward
himself, an attempt at such a road, the intimation of a path.

인생은 자기 자신을 향해 가는 길이다.  삶이란 그 길 위의 한 가지 시도이며 자기 자신에게 도달하기 위한 여러 경로 중에 한 가지를 찾는 실마리이다.

 

표현의 기술

지난 번 한국에 갔을 때, 서점에서 발견한 책. 유시민의 신작, “표현의 기술”이다. 서점 주인 말씀이 유시민 책은 나오기만 하면 아주 잘 나간다면서 이 분은 책이나 계속 쓰면 좋을텐데, 왜 정치한다고 했는지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하셨다. 그 말씀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유시민의 책을 거의 모두 사기는 했던 것 같다. 유시민이 생업으로서의 정치를 그만둔 것은 한국정치에는 마이너스 요소가 되겠지만 출판계에는 플러스가 되는 일이겠고, 독자로서 그의 책을 더 자주 만나게 되는 일이니 독자로서는 좋은 일이다. 하지만 안타까운 마음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건 순전히 내 추측인데, 유시민이 정치를 그만두게 된 이유말이다. 그건 아마도 노무현 대통령 서거와 그 이후의 일련의 사태를 지켜보면서, 대중에 대한 분노, 실망 그런 마음이 가장 큰 축이 아닐까. 어쩌면 자칭 자유주의자로서 당연한 귀결일지도 모르겠다. 우리나라의 주류로서의 모든 배경을 가진 사람이, 주류와는 전혀 다른 길을 걸어왔으며, 권력욕 이상의 그 무엇인가(희생? 봉사?)를 위한 정치를, 도저히 답이 없어보이는 대중을 위해 계속 해야할 이유를 찾지 못한 것이다. 할만큼 했다는 마음도 있었으리라. 한 번뿐인 인생, 이제는 자신을 위해 살 때도 되었다고 그렇게 생각했을 수도 있다.

목표와 소원

소원은 결론만 보는 것.

목표는 성취하는데 필요한 구체적 행동 단계가 있는 것. 다섯 가지 단계

  • 글로 쓰고
  • 구체적으로
  • 순서가 있어야
  • 측정 가능해야
  • 계획표

세 가지 기간

  • 단기: 오늘
  • 중기: 한달에서 몇 년
  • 장기: 인생

중요한 점. 목표를 향한 여행을 즐겨야 한다. 날마다의 작은 발걸음은 목표에 조금씩 다가가고 있다는 뜻이다.

용서의 기술

용서의 기술 – 4장. 스스로에게 되뇌는 말이 당신을 죽인다.

현실자체보다 현실을 ‘어떻게’ 바라보느냐가 신체반응을 결정하다. 몸과 마음은 연결되어 있다.

용서의 기술 – 5장. 억울한 사연은 스스로 만든다.

인간의 기억은 왜곡된다. 기억이란 선택적이다. 하지만 ‘나’는 그 ‘기억’을 ‘사실 그대로’라고 생각한다. 확증할 수도 없는 상대방의 의도를 ‘확증할 수 있는 사악한 의도’라고 믿는다. 이는 파악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그렇게 믿어버린다.

억울한 사연. 이렇게 된 건 내 선택이 아니라 다른 누군가가 이렇게 만든 것이며 이것은 부당한 일이며, 이를 특정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개인적 공격으로 받아들인다.

피해자는 사건의 가혹함을 과장해서 자신의 책임을 축소하고 공격자 때문에 자신의 미래가 망가졌다고 생각한다.

용서의 기술 – 6장. 용서는 선택이다.

운명을 결정하는 건 ‘기회’가 아니라 ‘선택’이다. 사건 자체보다는 사건읠 보는 당신의 해석/선택에 따라 달라진다는 뜻.

행복의 비밀은 어떻게 살 것인지 스스로 선택하려는 마음에 있다.

용서하지 않는 것은 미래를 개선하기 위해 애쓰는 대신 과거를 바꾸려고 애쓰는 일이다. 과거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책읽기와 필기하기

책을 읽으면서 공책에 필기하듯이 내용을 정리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 전 일은 아니다. 아마도 5년전 부터 정도일까. 딱히 깔끔하게 정리한다기보다는 그냥 그날 그날 읽은 내용 중에서 중요해 보이는 것을 책에 밑줄을 치거나 하는 대신에 공책에 따로 적기 시작했다.

놀라운 것은 그렇게 적은 공책을 몇 개월 후에 펼쳐보았을때다. 주의깊게 읽었다고 생각하는 대부분의 내용이 마치 다른 사람이 정리해 놓은 것을 내가 처음 보는 것처럼 생소해 보이는 내용으로 가득차 있다는 것.

그래서, 아, 이게 책 읽기의 한 가지 방법론이 될 수도 있겠다 생각이 들어서 그때부터 특별한 일이 없으면 책을 읽으면서 항상 독서노트를 함께 갖고 다니면서 필기를 하기 시작했다.

일주일에 하루 정도 한 시간 정도 시간을 내어 예전 독서노트를 특별한 목적없이 펼쳐보기로 했다. 그러다가 정리할 욕심이 나면 여기에 적기 놓기로 결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