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시도의 후과

불법 비상 계엄으로 육군 특수전 사령부를 포함하여 정보사령부 특임대 등 우리나라 최강의 부대를 동원했다가, 그 사령관들을 포함하여 많은 수의 군장성, 영관급 장교들이 처벌될 위기에 처했다.

인조반정 즈음에 지금의 북만주 지역에는 후금이 등장해서 그 기세를 키워가던 중이었다. 이런 긴박한 상황에서 인조반정의 공신 중 하나였던 이괄은 그 북방의 경계를 책임지고 있었다.

반정공신들 간의 알력으로 이괄의 아들이 포함된 역모 의혹 사건이 발생하지만, 조사 후 무고로 밝혀진다. 하지만 이괄을 잡아와 아들의 모반 사건을 조사해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이괄을 서울로 압송하려 한다. 이괄은 아들이 모반죄라면 자신도 무사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하고, 반란을 일으킨다. 1만여 병력을 이끌고 한양을 점령하는 등 초기에는 꽤 기세를 올렸지만, 곧 전열을 정비한 관군에게 대패하여 목숨을 잃는다.

하지만 이로 인해, 북방 수비의 주력군이 무너지고, 반란군 일부가 후금으로 도망하여, 후에 정묘호란 등의 길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조선말기의 군사력이 형편없다보니, 조선의 군사력을 대단치 않게 보는 경향이 있지만, 조선 초기나 중기의 조선군은 그렇게 호락호락한 군대가 아니었다. 후금으로서도 조선을 전면적으로 침공하는 것이 쉽지 않은 선택이었기 때문에 두차례 호란에서도 소수병력의 기습으로 한양으로 곧바로 진격하여 왕을 잡고 속전속결로 마무리하려 했다.

만일 이괄의 난이 일어나지 않아서, 북방 수비를 위한 주력군이 유지되었다면, 후금의 입장에서도 쉽게 조선을 침공하지 못했을 것이다.

언론유감1

첫 번째는 친/반/비 란 말.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다. 아마도 2000년대 초반 즈음이었던 것 같은데, 정치권 사람들을 분류할 때 친/반/비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던 것 같다. 그 전에는 이른바 동교동계, 상도동계 등의 계파로 정치인들을 분류했는데, 어느 때부턴가 친노, 비노 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하더니, 그 이후로, 친이계, 친박계라는 말을 거쳐, 친박, 진박, 비박 이란 용어가 만들어져 쓰였다. 친문, 반문, 비문을 지나, 친윤, 반윤, 비윤에다가 친한이란 말도 들어오고, 친명, 비명, 반명까지 그 쓰임이 끝날 것 같지가 않다.

조선시대에도 붕당이라 하여, 남인, 북인 (대북, 소북), 노론 (시파, 벽파), 소론 등이 있었다. 정파와 학파에 따라 나뉘고, 각 당파별로 큰 스승들이 있었다. 그래도 친이이, 반이이, 친이황, 반이황, 친조식, 반조식 등과 같이 정파를 나누지는 않았다.

언어는 생각의 틀을 만들기도 하지만, 생각을 그 틀 안에 가두기도 한다. 전우용 교수의 일갈처럼 민주정(democracy)란 말이 민주주의로 잘못 번역되면서, 왕정이나 공화정 처럼 하나의 정치체제를 의미하는 민주정이란 말이 무슨 무슨 주의처럼 어떤 신념 체계를 뜻하는 말처럼 인식이 되면서, 믿고 안믿는 신앙의 차원이 되어버렸다. 경제체제를 일컫는 사회주의/공산주의의 상대편에는 자본주의라는 단어가 적절한데, 이상하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자본주의 대신 ‘민주주의’란 말을 상대어로 더 흔히 쓰기 시작하게 된 것도 이런 잘못된 생각의 틀 때문이다.

한 사람의 여러 층위 철학과 인식을 특정인과의 친소로 나누는 이런 저열한 방식은 그렇게 분류된 사람의 존엄을 해치는 일이다. 나의 존재가 어떻게 특정인과 친하거나 또는 소원하거나로 정의될 수 있다는 말인가. 다양한 이해관계와 가치관을 가진 하나 하나가 헌법 기관인 현직 국회의원을 친/반/비로 딱지 붙이는 순간, 그 각자의 존엄함은 사라지고 ‘친’이 지향하는 한 개인의 명령에 무작정 따르는 수동적인 객체로 만들게 된다. 어쩌면 지금 친윤, 비윤, 친한, 친명, 비명 으로 분류되는 개개인들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고 친윤의 입장, 친한의 입장, 친명의 입장, 반명의 입장 만이 들리는 것은 그 때문이 아닐까?

바라건데, 사람들을 친/반/비 로 구분짓는 일은 그만 멈추어주었으면 한다. 그 사람들이 무슨 모임이라도 만들어 활동한다면 모를까, 언론이 자의적으로 찬/반/비 로 붙여 부르는 것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어차피 본인의 의사를 물어본 것도 아니고, 오늘, 내일의 발언의 내용에 따라 왔다 갔다 하는 찬/반/비 분류는 의미를 찾을 수 없는 언론의 말장난일 뿐이다.

꼰대

‘꼰대’를 사전에서 찾아보니 ‘늙은이’를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요즘은 그 말의 의미가 확장되어 권위주의적 사고방식을 가진 윗사람으로 아집에 빠져 젊은이들에게 훈수랍시고 자기 의견을 강요하는 사람을 일컫게 되었다고 한다.

폭압적인 군사정권이 끝나고, 88년 서울올림픽을 지나며, 기존의 권위주의적이고 틀에 박힌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생각을 가진 X세대로 불리던 우리 세대는 이제 나이들어 이른바 꼰대가 되었다.

막상 꼰대가 되어보니, 꼰대라는 말이 가진 틀의 무게가 상당하다는 걸 느낀다. 무슨 말이라도 하려고 하면, 입을 떼기가 무섭게 이른바 ‘꼰대짓’으로 입틀막을 당하는 신세라니, 서글프다. 나이들면 지갑은 열고 입은 닫으라는 격언이 있던데, 입닥치고 돈이나 내라는 얘기로 들리기에 그 또한 서글프다.

MZ는 MZ라서 그려러니 한다면, X세대는 X세대라거 그러려니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젊은 사람들 듣기 좋은 말을 해주면 현자로 칭송받고, 조금이라도 귀에 거슬리는 말이다 싶으면 꼰대로 비난을 받게 되니 너도 나도 입을 닫게 되고, 세대간 대화도 없어지니 그 장벽이 더 높아지는 것이 아닌가.

요즘처럼, 나이가 벼슬이 아닌 시대에, 입도 뻥끗하지 못하게 하는 ‘꼰대’라는 재갈은 아무래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첫 직장 명함

90년대 초반에 샀던 책을 다시 꺼내 읽다가 책갈피로 사용했던 반가운 예전 명함을 발견했다. 1994년도 금성사(金星社)에 입사했을 때 받았던 명함. ‘서울’을 제외하고는 모든 단어가 한문으로 쓰여진 것이 흥미롭다. 내 이름은 특별히 한글로 해달라고 부탁했으리라. 대학시절 국어운동학생회라는 동아리 활동을 했고, 나름 한글전용론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權在洛이라는 한문 이름이 써져 있었으리라. 지금이야 한글전용이라는 말이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90년대,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글전용과 국한문혼용에 대한 논쟁이 꽤 뜨거웠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듬해에 LG전자로 사명이 변경되었으니, 금성사의 마지막 해와 LG전자의 첫 해를 함께 했다. 내 첫 직장이기도 했고, 대학 2년과 대학원 2년의 등록금을 책임져준 고마운 회사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항상 애정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