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OS 2023

로봇공학 학회 중에서 유명한 것 두 개가 있다. ICRA와 IROS. 올 해 IROS가 디트로이트에서 개최된다고 해서,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아, 참석하기로 하고, 급하게 논문을 두 개 제출했다. 운이 좋게도 그 중에 하나가 받아들여져서 발표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코로나 이후로 학회 참석을 자제해왔는데, 오래 간만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자기 연구를 발표하고 의견을 나누고 하는 모습이 참 보기가 좋았다.

IBRO 2023 참석과 그라나다 방문

스페인 그라나다에서 열린 IBRO 2023 학회. 학회의 규모는 SfN에 비한다면 아기자기한 정도. 아무래도 응용연구보다는 의학적 뇌연구 분야에 집중된 느낌이고, 뇌연구와 접합된 로보틱스 분야의 내용은 별로 없었다.

스페인 방문은 처음인데, 몇 달 전부터 시작한 스페인어 공부가 조금은 도움이 되었다. 날씨는, 햇살을 뜨겁지만 습기는 없어 그늘에만 들어가면 금방 시원해졌다.

오래된 도시의 숨결을 유지한 아름다운 도시.

한국 수퍼마켓도 아닌데, 한글 간판에 한국라면과 술, 그리고 김치.

그리고 절대 빼먹을 수 없는 곳. 중앙시장 – 산 아구스틴. 싱싱하고 다양한 해산물을 합리적인 가격에 즐길 수 있다. 그 자리에서 바로 조리해주는데, 정말 맛이 있다. 점심 시간이 조금 지나면 문을 닫기 때문에 일찍 서둘러야 하고, 저녁 식사는 할 수 없다. 음식의 간이 한국 사람 입맛에 딱 적당하다. 너무 짜지도 너무 달지도 않게 맛이 있다. 토마토를 비롯한 야채의 맛도 정말 좋다. 도시의 아름다움도 좋지만, 어디를 가나 기본적으로 맛이 있다.

단 한군데 예외가 있었는데, 중동풍의 식당에서 파는 음식은 그다지 입맛에 맞지 않았는데, 술이라도 팔면 안주삼아 견뎌보려 했는데, 술도 팔지 않고, 무알콜 맥주를 파는데, 차라리 콜라가 낫지싶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

그라나다 공항까지 이른 시간이었지만, 미리 보아둔 택시 정거장 덕분에 제 때 도착했다. 하지만 그라나다에서 출발이 늦어져 마드리드에서 연결편 탑승까지 빠듯한 시간 때문에 공항을 달리다시피해서 겨우 겨우 마드리드발 시카고 행 비행기에 탑승. 시카고에 내려서 짐을 찾으려하니, 도착하지 않았다. 아마도 마드리드 공항에서 제때 시카고행 비행기에 실리지 못했던 것 같다. 다음부터는 특히 국제선의 경우에는 연결편 시간에 여유를 좀 많이 잡아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다행히 짐은 이틀 뒤에 하나, 나흘 뒤에 또 하나 이렇게 해서 집에 잘 도착했다.

가기 전에 미리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유로화 굳이 가져갈 필요없이, 어디서나 신용카드를 쓸 수 있었다. ATM기도 많이 보여서, 급하면 찾아쓰면 되기때문에 유로화 환전 불필요. 그리고, 신용카드는 마스터와 비자 둘 중 하나는 꼭 챙겨가야 한다. Amex같은 미국 카드는 안받는다.

프라하에서 열린 ISBI 2016 학회

2016년도 ISBI(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medical Imaging) 학회가 Czech Republic의 Prague(프라하)에서 열렸다.  작년에 뉴욕의 브루클린에서 열렸던 때와 비교해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좀 못하다는 느낌이다. 아무래도 거리가 멀다보니 미국쪽에서 많이 참석을 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 같다. Deep Learning과 Big Data는 여전히 인기있는 주제다. Segmentation에 Deep Learning을 활용한 논문들이 눈에 많이 띄었다.

발표한 포스터

프라하는 늘 한번쯤은 가보고 싶었던 도시다. 옛 유럽의 정취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고들 하던데, 정말이지, 프라하의 옛 시가지 중심은 자동차만 보이지 않는다면 그냥 중세의 유럽이라고 해도 믿을만큼 잘 보존되어 있다.

직항 비행편을 찾지 못해서 시카고를 통해 오스트리아 빈에서 조그마한 비행기로 갈아타서 프라하에 도착했다.

Vienna에서 Prague로 가기 위해 갈아탄 Austria 비행기.

Vienna에서 Prague로 가기 위해 갈아탄 Austria 비행기.

프라하 공항에는 한글 안내문이 선명하다. 나중에 듣게 된 이야기지만 대한항공이 프라하 국적항공사의 최대주주라고 한다. 아마도 그 때문인지, 아니면 그만큼 한국 관광객이 많다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공항에서 발견한 한글 안내문은 반갑다.

Prague 공항에는 표지판에 한글이 있다. 대한항공이 최대주주라 그렇다는 얘기가 있다.

Prague 공항에는 표지판에 한글이 있다. 대한항공이 최대주주라 그렇다는 얘기가 있다.

시민극장인데, 이곳에서 String Chamber Orchestra 연주를 구경했다.  크고 작은 공연들의 도시의 곳곳에서 열리는 것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20세기 초에 세워진 시민극장으로 다양한 음악공연이 매일 저녁 열린다.

20세기 초에 세워진 시민극장으로 다양한 음악공연이 매일 저녁 열린다.

프라하성 안에 있는 성당으로 600년전부터 짓기 시작해서 20세기 초반에 완공되었다고 한다.

프라하성 안에 있는 성당으로 600년전부터 짓기 시작해서 20세기 초반에 완공되었다고 한다.

Lokal이란 pub에서 시킨 돼지고기 요리. 맥주 안주로 나쁘지 않다.

Lokal이란 pub에서 시킨 돼지고기 요리. 맥주 안주로 나쁘지 않다.

국립박물관 앞에 있는 동상. 바츨라프왕의 동상이리라.

국립박물관 앞에 있는 동상. 바츨라프왕의 동상이리라.

까를교에서 바로본 프라하성 야경.

까를교에서 바로본 프라하성 야경.

무지개가 떴다.

무지개가 떴다. 

Honeyview_IMG_20160411_163516-PANO

존레넌 벽으로 불리며 사회주의 시절 반정부 메시지들이 낙서되곤 했는데 수도원의 벽이라 허물지 못하고 유지되었다고 한다.

Honeyview_IMG_20160416_195006-PANO

오페라 La Traviata 공연을 본 오페라 극장이다. 국립박물관 바로 옆에 있는 고풍스러운 건물아네 크지는 않지만 옛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 같은 아름다운 극장이다.

Honeyview_IMG_20160412_131052-PANO

천문관측탑 위에서 바라본 프라하 구시가지 전경. 이 천문관측탑은 티코브라헤와 케플러가 천체 관측을 위해 사용했던 곳이라고 한다.

 

 

승진

DOC-PromotionLetterToAssociate-small

오늘 오후에 이 편지를 받았다. 드디어 부교수로서의 승진이 최종적으로 확정된 것이다.

2004년 여름, 입학 허가서 한 장 달랑 들고, 1년 치 생활비만 챙겨 Texas로 갔었다. 5년간의 학위 기간 동안, 우리 가족에게 닥쳤던 육체적, 정신적, 재정적 시련, 그리고 내 개인적인 어려움을 힘겹게 넘겼다고 밖에 표현할 길이 없다.

2009년 졸업과 더불어 2년 계약으로, 신분이 불안정한, 방문 교수로 지금의 Kettering에 오게 되었다.

학과장의 호의와 함께 운도 따라주어 2010년 5월부터 정식 조교수로 일을 시작하게 되고, 그렇게 만 6년이 다 되어간다. 지난 6년 간 다사다난했다는 말로 밖에 표현하기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오늘 승진 편지를 받았다.

돌이켜보면 온전히 내 힘만으로는 여기까지 올 수 없었다. 상투적인 얘기같지만, 잠시만 돌이켜봐도 그렇다. 지금은 그만 둔 이전 학과장 Jim의 전폭적인 지지가 없었다면, 지금하고 있는 과제를 시작하지 못했을게다. 또한 박사 지도 교수님의 도움이 없었다면 그 과제 제안서를 만들어내지 못했을게다. 동료교수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자리잡기가 쉽지 않았을테고, 또한 아이들과 아내의 헌신적인 도움이 없었다면 아예 엄두도 내지 못했을 일들이다. 그리고 언제나 아들을 자랑스러워하시는 한국에 계시는 어머니. 아버지가 살아계셨다면 무척 기뻐하셨을텐데, 장모님도 살아계셨더라면 누구보다 더 기뻐하셨을거고.

아무튼 나도 참, 기쁘다.

학회

로마에서 열린 BIOSTEC 2016 학회에 다녀왔다. 수준 높은 학회는 아니지만 그래도 나름 좋았다. 한국의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서 오신 분들을 만나서 내가 수행 중인 과제를 소개할 기회가 있었다. Key Note 발표 중에 Deep Learning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 분류에 대한 내용도 재미있게 들어서 내 연구에도 활용할만한 아이디어도 얻었다.

로마에는 2002년 아내와 함께 갔었고, 이번이 두 번째 방문이다. 천년고도가 10여년 만에 뭐가 바뀌었을까만 지난 여행의 기억이 조각 조각으로만 남아 있어서, 내게는 처음 간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다만 지난 번에 아쉽게 못 갔던 곳, 콜롯세움 내부와 바티칸의 성베드로 성당은 꼭 가보고 싶었다. 하루를 온전히 빼서 미술관과 박물관을 둘러보고 싶었는데, 한 나절 동안 겨우 두 개의 미술관만 둘러 볼 수 있었다.

이동 수단은 지하철을 탔는데, 지하철 세 네 정거장 정도는 걸어도 괜찮을 정도로 로마 자체가 넓지가 않다. 출퇴근 시간은 사람들로 넘쳐났고, 비좁은 도로에 최적화된 장난감같이 자그마한 자동차가 참 많았다. 사람들의 체구는 아담해서 천년 전 유럽을 호령하던 로마제국을 상상해내기는 쉽지 않았다. 로마 곳곳의 유적지(폐허라고 하는 게 더 적당할 듯)도, 당시 사람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아 벽돌 하나, 기둥 하나가 예사롭게 보이지 않았다.

시간이 허락된다면 로마에서 들렀던 곳들을 간단하게나마 정리해두고 싶은데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IMG_20160224_150503-PANO IMG_20160224_085204-PANO IMG_20160226_181826-PANO

학기 시작

다음 주 월요일부터 2016년 겨울학기 시작이다. 우리 학교는 쿼터제를 시행하고 있어서 네 개의 학기가 있는데, 첫 학기가 겨울 학기다. 겨울 – 봄 – 여름 – 가을 이렇게 학기 이름이 붙어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하는 식으로 계절을 세어 왔던 나로서는 헷갈리는 이름이 아닐 수 없는데, 몇 년이 지나도 익숙해지지가 않더니 이제 6년이 넘으니 조금씩 익숙해진다.

이번 겨울학기에는 새로 가르쳐야하는 과목이 생겼다. 이것도 사실 ‘아니’라고 말하지 못한 내 문제이기도 하다. 다른 학교로 자리를 옮긴 교수가 가르치던 선택과목 하나를 떠맡게 되었는데, 사실은 그냥 시간이 안되서 어렵다고 말했으면 그만일 수도 있는 걸, 덥석 ‘예’라고 말해버린 것이다. 가르칠 내용을 새로 준비해햐 하는 것이라 시간이 좀 많이 필요해서 이번 학기에 가르치기에는 무리다 싶었지만 조금 욕심을 부렸다.

나름 준비한다고 했지만 역시 시간이 부족해서 어디 내놓기에는 좀 부끄러운 수준이 될 수도 있지만 나름 최선을 다했으니 결과는 겸허히 받아들이려고 한다. 처음부터 너무 욕심부리지 않고, 학생들과 더불어 이 새로 가르치게될 과목을 점차 충실한 내용으로 채워나갈 생각이다.

2015년 KOCSEA 학회

재미 한인 정보과학자 협회에서 주최하는 학회가 올해는 LA 근처의 Claremont에 위치한 Harvey Mudd College에서 열렸다. 반가운 얼굴들도 있고, 새로 뵙게 되는 분들도 많았다. 착실한 준비 덕에 모든 것이 순조롭게 잘 진행되었다. Leadership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겨보는 계기가 되었다.

IMG_4499IMG_4425

 

대학원생의 휴가

내가 석사 과정을 다니던 1992년~1994년에는 공대 대학원생에게 “휴가”라는 것은 적어도 내가 생활하던 공간에서는 들어본 적이 없는 개념이었다. 연구실 단위로 교수님과 함께 단체여행을 가는 일이 휴가라면 휴가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시간이 흘러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박사 과정을 다닐 때도 연구조교를 하면서는 딱히 정해진 “휴가”라는 걸 요구해본 적도 없고, 정해진 휴가라는 걸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휴가에 대한 불만 자체도 가져본 적이 없다. 하루 8시간 일주일에 5일 그렇게 주당 40시간 기본 근무 시간을 채우고 2주마다 급여를 받아가야하기 때문이었다.

지금 돌이켜보면 올바른 일은 아니지 싶지만, 아무튼 당시에는 그런 개념조차 없었다는 말이다.

대학원생들을 데리고 있게 되면서도 휴가 문제를 깊이 생각해 볼 기회가 별로 없었다. 왜냐하면 내 머리 속에는  “대학원생들에게 휴가”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이다.

우리 학교는 일 년에 네 학기가 돌아가는 쿼터 시스템인데, 매 학기 바뀔 때마다 일 주일의 휴가가 있고, 여름과 겨울에는 여기에 추가로 두 주의 휴가가 추가된다. 물론 학부 학생과 교수들을 위한 일정이 그렇다는 말이다. 작년에는 별 생각 없이 대학원생들도 학부학생들 학사 일정에 맞춰서 쉬게 해 주었다.

그런데 생각을 좀 해보니, 연구조교를 하는 대학원생은 주당 40시간 기준으로 2주마다 급여를 꼬박 꼬박 받는데 여름과 겨울에 3주를 쉬는 것은 아무래도 너무 과하다 싶었다.

이런 것도 이번 기회에 명확한 기준을 세워놓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