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고 팔기

살고 있는 집을 팔고, 다른 사람이 살고 있는 집을 사서 이사하는 일이 쉽지가 않다.

내 집을 살 사람도 자신의 집을 팔고 오는 경우에는 문제가 하나 더 추가되고, 내가 사서 이사할 집을 갖고 있는 사람이 다른 집을 사서 나가는 경우에 또 다른 문제가 하나 더 추가된다. 모든 게 연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사 들어올 사람이 자신의 집을 무사히 팔고, 내 집에 대한 주택담보 대출을 받아야하고, 대출을 받은 후 나와 구매 계약을 완료해야 한다. 나는 그 구매 계약을 근거로 다시 내가 살 집에 대한 주택 담보 대출을 받아야하고, 대출이 최종 결정되기까지 7일에서 10일 정도 걸린다고 하고, 서류에 하나라도 문제가 있으면 새 서류 제출 후, 다시 7일에서 10일 걸린다고 한다.

내 집을 팔고, 다른 집으로 이사하는 경우에 어쩔 수 없이 집을 파는 시점과 다른 집에 들어가는 시점 사이에 시간 차가 생길 수 밖에 없다. 대개의 경우에 집을 사면서 담보대출을 받을 때 집값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지불해야 하는데 (down payment라고 한다.), 이 자금은 기존의 집을 팔아서 마련하거나, 아니면 그 만큼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충분한 현금이 있어서 다른 집을 살 때, down payment를 자기 돈으로 할 수 있다면 내가 이사들어갈 집의 구매 계약 완료 (closing이라고 한다)를 한다면 이사 계획을 미리 미리 할 수가 있겠다. 하지만, 내 경우에는 현재 집을 팔고, 그 대금으로 down payment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집 판매 계약을 마치고, 대출을 받아 집 구매 계약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 중간에 시간 차가 생기게 된다. 지금 집을 비워주어야하는데, 새 집은 아직 마련되지 않는 고약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내 집을 산 사람에게 양해를 구하고, 집값을 내는 조건으로 이사갈 때까지 머물 수도 있는데, 이건 전적으로 내 집 구매자가 허락해주느냐에 달려 있다.

이런 와중에 이사를 위해 이사짐 싸기와 이사 업체와 예약도 해야 하기 때문에, 신경 쓸 일이 만만치가 않다. 또한 대출을 위한 준비도 꾸준히 해주어한다.

그러다보니,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에너지 소모가 많다.

이사 준비

지난 10년간 보금자리

2010년부터 살았던 집을 팔고, 학교 근처로 이사를 할 예정이다. 원래 계획은 올 가을과 겨울은 어떻게든 버텨보고, 내년 봄에 이사를 준비하는 것. 하지만, COVID-19 때문에 여러 가지로 활동에 제약이 생기게 된 틈에 여름 한 달을 이사 하는 일에 집중 하기로 하고, 부랴 부랴 이사 준비에 나섰다.

집을 팔기 위해 내놓고, 첫 번째로 들어온 구매 제안을 받아들였다. 필요한 서류 작업을 마치고, 집안의 기반 구조나 설비 점검도 마쳤다. 감정 평가만 남겨 놓은 상태다.

새로 집을 얻을 곳은 Ann Arbor와 Dearborn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 도시다. 학교, Ann Arbor, 그리고 Detroit 공항, 이렇게 세 곳까지 도달하는데 20분 정도 걸리는 지역이다. Canton, Livonia, Westland, Garden City가 후보지인데, Westland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가능하면 가을 학기가 시작하기 전이나, 늦어도 가을 학기 초반에는 이사를 완료하고 싶어서, 서둘러 일을 처리하고 있다.

오늘은 이삿짐을 쌀 상자들과 이사에 필요한 용품들을 주문했다. 이번 주말에는 당장 사용하지 않을 겨울 옷가지들과 식기들을 상자에 포장을 할 예정이다.

이사를 위해 다른 집들을 돌아보니, 지금 살고 있는 집이 얼마나 좋았는지 이제서야 새삼스럽게 느끼게 된다. 이미 갖고 있는 것에 대한 감사는 언제나 쉽게 잊는다.

마지막 텃밭 농사

올 해가 아마도 마지막 텃밭 농사가 될 것 같다. 빠르면 올 가을, 늦어도 내년 봄에는 디어본(Dearborn) 근처로 이사를 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마침 가랑비가 내려 땅이 촉촉히 젖었다. 땅을 고르고, 퇴비하려고 겨우내 모았던 음식 쓰레기들을 흙에 섞어주고, 고랑과 이랑을 만들었다.

집안에서 싹 틔운 부추와 호박을 옮겨심고, 텃밭에서 버려진 채 겨울을 난 파들도 제대로 옮겨 심었다.

적상추 씨가 있길래, 함께 심었다. 작년에는 제대로 싹이 나지 않았던 것 같은데, 올 해는 제대로 싹이 트기를 기대한다.

먼저, 땅을 고르고, 겨우내 음식쓰레기를 모아서 만든 퇴비를 섞어주었다.
지난 가을 아무렇게나 버려진 파들 중에서 겨울을 무사히 보낸 기특한 파들을 우선 심어주고, 심지 않아도 봄이 되면 마법처럼 다시 나는 부추도 이번에는 제대로 옮겨 심었다.
집안에서 모종으로 좀 키워볼까했는데, 바깥 날씨는 아직 덜 풀린 것 같은데, 이것들은 자꾸만 웃자란다. 어쩔 수 없이 될되면 되라지하는 심정으로 밭으로 옮겨 심었다.

한국 총선

지난 며칠 동안, 한국 총선 소식에 온 신경이 쏠려 있어서, 다른 일에 거의 집중할 수가 없었다. 이제 총선도 끝나고, 결과도 잘 나온 것 같다. 제대로 좀 해보라고 민주당에 압도적 지지를 보내준 사람들의 뜻을 잘 모아서, 문재인 정부의 국정후반을 잘 이끌고, 다음 대통령 선거와 지방의회 선거까지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란다.

이제 나도 일상으로 돌아가서 내가 해야 할 일에 집중하자.

개나리가 곧 필 것 같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학교가 문을 닫은 지도 이제 한 달이 넘어가고 있다. 봄이 오는 듯 하더니, 지난 며칠 간 다시 쌀쌀한 날씨가 계속 되고 있다.

힘들지만 그래로 봄은 기어이 오고야 말테다.

지난 3월 15일 학교.
지난 3월 17일. 학교 근처 산책로. 지금은 활짝 피어났으리라.

오베라는 남자

소설을 즐겨 읽는 편은 아니라, 이 책에 손이 가기까지는 한참이 걸렸다. 그래도 좋은 소설은 소설만이 주는 몰입이 있다. 그리고 내가 직접 겪어보지 못하는 다른 사람의 세계에 들어가 그 사람이 되어 볼 기회를 가져볼 수 있다. 소설없이는 경험하기 어려운 기회다.

“오베라는 남자”는 근래에 읽었던 소설 중에 가장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어떤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 그 사람을 소중히 아낀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해준다. 읽고나서, 내게 없었던 무엇인가가 내 안에 생겨나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면 좋은 책이다. 이 책이 바로 그렇다.

나란 사람은, 기본적인 생존에 대한 불안, 그것을 해소하기 위해 너무 많은 에너지를 쏟으며 살아온 것은 아닌지 내 자신을 돌아보게 한다. 생물학적 생존만을 위해 산다면, 동물과 다름없다. 인간답게 살려면 존재의 존엄을 지키는 일에 조금은 더 애써야 한다. 이제부터라도 조금씩이라도 그렇게 살도록 애써보자.

여론 조사 결과 해석하기

3월 3주차 주중에 나온 리얼미터의 정당 지지도에 대한 결과다. 이 결과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기사가 나왔다.

통합당, 민주당과 격차 5.8% 좁혀..민주당, 5주 연속 40%대 유지. 민주당, 광주·전라 및 20대에서 지지율 하락. 통합당, 서울·광주·전라 등에서 지지율 상승..20·30도 약진.

https://news.v.daum.net/v/20200319093110906

리얼미터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 신문 기사는 결과 해석에 대해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일단, 격차가 좁혀졌다는 문제.

해당 여론 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가 +-2.5%라고 한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신뢰수준이라고 하면 이와 같은 조사를 다시 한다면 그 만큼의 확신으로 같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는 뜻이고, 표본오차는 결과값이 그 숫자만큼 더 나올 수도 덜 나올 수도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3월 3주차에 35.1%가 나온 결과는 -2.5를 한 32.6%일수도 있고, +2.5%를 한 37.6%일 수도 있다는 뜻이다. 그 전 주인 3월 2주차에 나온 결과 32.1%에 +-2.5%를 해 보면 그 범위가 29.6%에서 34.6%가 되기 때문에, 3월 2주차 결과를 최대치인 34.6%로 가정하고 3월 3주차의 최저치인 32.6%를 고려하면 지지율은 오히려 떨어진 결과로 해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조사결과를 가지고 격차가 좁혀졌다고 해석하면 안된다. 이 지지율 격차는 실제로는 더 벌어진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권역별 등락을 표현할 때도 크게 하락했다 또는 약진했다는 식으로 표현하면 안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해당 조사는 표본수가 전국 성인 1,501명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권역별로 인구비율대로 나눈다면 광주와 전라도 인구가 2020년 2월 현재 약 510만이고, 우리나라 인구가 약 5,200만이므로 약 1/10이다. 표본수가 권역별 인구로 보정되었다는 가정하에 광주, 전라 지역의 표본 수는 150명 정도가 되겠다. 표본수가 작은 곳에서 민주당, 통합당 지지도를 물으니 표본오차는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2.5의 표본오차는 전체 표본에 대한 것이지 특정 권역에 대한 것이 아니다.

해당 기사에는 없지만, 때에 따라서는 다시 권역별 연령별로 결과를 해석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은 이유로 그대로 믿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광주, 전라 지역의 20대 인구는 64만 6천명 (2019년 12월 5일 기준)이므로 약 13%가 된다. 표본 수 150명에 적용해 보면 20대의 총 표본 수는 크게 잡아도 20명이다.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3_A304&conn_path=I2

이처럼, 특정 지역의 특정 연령대에 대한 조사값은 표본수 자체가 워낙 더 작아지기 때문에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위의 그래프는 지난 한 달 간의 주중 정당 지지율 추이를 +-2.5%를 함께 표시한 것이다. 그냥 변화가 거의 없다고 말하는 편이 옳다.

작은 변화에 의미를 부여해서 자신의 정치적 이익에 부합하는 주장을 하려고 하는 기사가 많다. 생각이 달라서 다른 주장을 할 수는 있지만 사기는 치지말자.

이번 학기 대면수업 중단

다음 주부터 일체의 대면 수업이 중단되고, 기말고사 포함 모든 수업은 온라인으로 대체된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할 방법이 없는 상황에서 지금에 와서 이렇게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었다면, 이미 몇 주 전에 시행했어야 했던 게 아닐까 한다.

검사 키트도 제대로 준비가 안되어서 코로나19 검사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곳 저곳에서 한 두명씩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가 나왔다는 얘기는 지역사회 감염이 어느 정도 시작되었다는 얘기인데, 이제서야 이렇게 호들갑을 떠는 것이 좀 유난스럽기도 하고, 감염을 차단하기에는 한 발 늦은 것이 아닌가.

이제라도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적극적인 대처에 들어갔으니 대규모 감염사태는 막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모르겠지만, 한 두 달 내에 진정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사태가 장기화 될 것 같은데, 그래도 6월에는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으면 좋겠다. 한국에도 다녀와야 하고, 연구실의 기반을 잘 세워야할텐데, 여러가지로 걱정이다.

투표

미국에서 하는 첫 번째 투표. 미시간 민주당 경선 투표가 있었다. 처음으로 한 표를 행사하게 되니, 여러 가지 마음이 교차한다. 올 해 있을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는 관심이 많지만 더 이상 투표를 할 수 없게 되었다. 다만, 미국 선거에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게 되었으니, 이 나라가 제대로 굴러가게 만들어서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게 노력하자.

Toronto 여행

미시간 대학 디어본 캠퍼스로 옮기고 처음으로 맞게되는 봄방학. 쿼터제를 시행하는 케터링 대학에 있을 때는 봄방학이 따로 없어서, 봄방학 계획 같은 걸 세워본 적이 없다. 이번에는 작은 아들이 다니고 있는 학교와 같은 시스템이라 봄방학 일정도 나와 같고, 때마침 큰 아들도 금요일 하루가 no class day라서 이렇게 세식구가 함께 여행을 계획할 수 있었다.

코로나19로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하게된 여행이라 마음이 가볍지만은 않았지만,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해서, 개인위생을 더욱 철저히 하면서 여행을 했다.

집에서 토론토까지는 네 시간이 걸리지 않는 거리다. 중간에 국경이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국경통과에 시간이 걸리지만, 대체로 미국에서 캐나다로 들어가는 국경통과는 간단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고,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들어올 때는 좀 더 까탈스럽고 시간도 더 걸리는 편이다.

아무튼 목요일 오후에 출발해서 토요일 오후까지 2박 3일 일정으로 토론토의 다운타운과 한인타운을 둘러볼 생각이다.

출발. 운전은 큰 아들이 하기로.

첫 날은 호텔에서 짐을 풀고, 운전으로 피곤한 큰 아들은 호텔에 두고, 둘째와 호텔 근처에 있는 Irish Pub에 갔다. 11시에 문을 닫는다는 표식과는 상관없이 11시 20분이 넘어서도 새로운 주문을 계속 받는다. 미국에선 볼 수 없던 모습.

아들과 맥주 한잔.

다음 날은 캐나다에서 가장 크다는 온타리오 왕립 박물관을 방문했다. 조금 오래된 건물 앞에 크리스탈이 건물에서 자라는 모양의 장식이 눈에 띄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져 있는 모양이다. 캐나다 최대라고 해서 살짝 기대했는데, 생각보다는 규모가 크지 않고, 전시물도 그렇게 인상적인 것은 없다.

온타리오 왕립 박물관

오후에는 한인타운에 가서 식사. 삽겹살에 소맥. 짜장면과 순대.

코리아 하우스. 음식이 크게 자극적이지 않아서 좋다.

저녁에는 다운타운에 가서 옷 가계 순례.

저녁 때는 다시 한인타운에서 한국식 양념통닭. 림스치킨이란 집인데 맛은 별로~.

다음 날은 MLS (Major League Soccer) 팀의 일원인 토론토 팀의 홈구장인 BOM 구장 구경.

집으로 돌아오기 전에 마지막으로는 수족관 방문. 어린아이들에게 큰 인기가 있는 듯. 코로나19 확진자가 22명이 나왔다는 날인데도 수족관에는 아이들과 그 부모들로 인산인해.

그리고, 너무 늦지 않게 집으로 출발. 해가 막 지기 시작할 무렵.

팀호튼에서 간단히 저녁식사.
이제 곧 미국국경

집으로 돌아오니 저녁 10시. 짧지만 알차고, 무엇보다 두 아들과 함께라서 더욱 의미있고 알찬 여행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