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개장

엊그제 우연히 고향사투리가 들어간 노래를 들었다. 예전 대학가요제 때 에밀레란 그룹으로 대상을 받았던 팀에 있던 심재경이란 분의 노래다. 나는 잘 모르지만 이런 노래를 만들어 부른 것을 보면 아마도 고향이 나와 같은 지역이 아닐까. 경상도라고 해서 사투리가 다 같은 것이 아니다.  ~시더, ~니껴 같은 어미는 다른 경상도 지역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안동, 예천, 영주, 청송, 영양, 봉화 지역 특유의 말이라고 한다.

이 노래를 듣자마자, 아버지 생각이 났다. 돌아가신지 벌써 몇 해가 되었다. 아버지나 나나 살가운 사람들은 아니라 함께한 기억이 거의 없다. 그러다보니 아버지를 추억할 거리가 별로 없다.

완고한 할아버지 때문에 학교 문턱까지만 갔다가 만 아버지는 가진 기술이 군에서 배운 운전 밖에 없으셨다. 택시 운전도 하셨고, 버스 운전을 하실 때도 있었다. 생각해보니 아버지가 지금의 내 나이보다 젊었을 때일 것 같다. 아버지는 일가친척들 이름으로 시골 농협에서 빚을 내, 트럭을 하나 장만하셨다. 고향 마을은 고추농사로 유명한 곳이었고, 근처 다른 동네도 마늘농사로 이름이 난 곳이었는데, 아버지는 시골에서 물건을 밭떼기 형식으로 사다가 경동시장에 가져와 파시는 일을 시작하셨다.

이 사업은 생각처럼 잘 풀리지 않았다. 가난했지만 큰 빚은 없었던 우리 살림이, 가난은 그대로인데 빚에 찌들리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보다못한 어머니가 아버지와 함께 장사에 뛰어들게 된 것도 이때부터다.

당시에는 고향동네로 가는 고속도로가 없어, 산넘고 재넘어 가는 방법 밖에 없었다. 새도 넘기어렵다고 해서 조령이라고도 불리는 문경새재를 넘어가야 했는데, 아버지는 트럭을 몰고, 물건을 떼러, 또 물건을 갖고 다시 서울로 올 때마다 이 고개를 넘어야 했다. 언제였는지 기억이 확실치는 않은데, 아마도 내가 중학생이었던 것 같다. 아마도 방학을 맞아 시골에 갈 요량으로 아버지의 트럭을 얻어탔던 것 같다.

아버지는 가는 내내 한 마디도 안 하셨던 것 같고, 나 또한 한 마디 없이 조용히 앉아서 고갯길의 구불 구불한 길을 달려가기 위해 아버지가 좌 우로 한껏 운전대를 돌리시는 아버지의 모습을 아슬아슬하게 내내 바라보기만 했다. 그 중간 어디선가 점심인지 저녁인지 식사를 하기 위해 잠시 멈췄다. 다른 것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데, 유독 그때 먹은 음식에 대한 기억만은 선명하다. 육개장이었다. 지금도 나는 육개장을 좋아하는데, 아마도 이때의 기억 때문이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아버지 생각

아버지 기일이 다가와서일까. 요 며칠 아버지 모습이 자꾸 떠오른다. 나 자신이 살가운 아들도 아니었고, 아버지도 대부분의 그 연배 경상도 남자들처럼 자식들에게 별 말씀은 없으신 분이었다.

이제와서 갑작스레 내게 무슨 애틋한 마음이 드는 것도 아닐텐데 자꾸만 관속에 누워계시던 아버지의 마지막 모습과 산소에 마지막에 묻히실 때의 정경이 느닷없이 머리 속에 그려진다. 동네 어귀에 있던 정자에 앉아 산책 후 가쁜 숨을 몰아쉬며 쉬시던 모습이며, 아무 생각 없으신 듯 무심한 표정으로 TV를 응시하시던 모습같은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모습들이 자꾸 내 머리 속에 들어 왔다 나갔다를 한다.

이 달 말이면 벌써 아버지 기일인데, 세월이 참 시나브로 흐른다 싶다.

금요일 오후, 올 상반기는 유난히 바쁘게 보내게 될 모양인데, 주말에 해야 할 일이 딱 하고 버티고 있으니, 마음이 주말을 맞는 게 아니라 마치 다시 월요일을 맞게 되는 기분이다.